깃의 작업 폴더는 모두, 전체 기록과 각 기록을 추적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완전한 형태의 저장소이다. 네트워크에 접근하거나 중앙 서버에 의존하지 않는다.
현재 주니오 하마노(Junio Hamano)가 소프트웨어 관리를 감독하고 있다. 깃은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v2 하에 배포되는 자유 소프트웨어이다.
라고 설명이 되어있다. 깃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라 소스코드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도구인 것이다!
사실 처음에 웹공부할때 써봤는데 처음에는 잘 모르고 막 쓰다가 요즘에야 어느정도 방법을 알고 사용중이다. 나는 특히 랩탑을 두개로 사용해서 소스코드관리에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Git 사용법을 배우는 곳은 여러곳이 있는데 그중 추천하는 곳은 Codecadamey 의 git 강좌와 영어에 약하다면 https://backlogtool.com/git-guide/kr/ 이곳은 한국어로 되어 있으니 이곳에서 배우면 좋다.
깃은 로컬 저장소와 원격저장소가 구분되어 있는데 작업을 할때마다 로컬저장소에 넣어놓는다고 해서 원격저장소에 바로 저장이 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푸시를 하기 전까지는 다시 수정하여 올릴 수 있다.
깃은 모든 작업을 브랜치로 나누어 처리 한 후 한번에 통합을 시킬 수 있다. 그야말로 여러사람이 효율적으로 나누어서 작업할 수 있다는 소리! 하지만 이해를 잘 하지 못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브랜치가 꼬이거나 어디가 어디인지 모르게 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잘 이해해야 한다.
근데 사실 실수하더라도 자주 써봐야지 적응이 되는 것처럼 그냥 개인 프로젝트로라도 써보는 걸 추천한다.
git init
creates a new Git repositorygit status
inspects the contents of the working directory and staging areagit add
adds files from the working directory to the staging areagit diff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working directory and the staging areagit commit
permanently stores file changes from the staging area in the repositorygit log
shows a list of all previous commits
'프로그래밍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it Teamwork (0) | 2016.01.30 |
---|---|
# git 브랜치 관리 커맨드 (0) | 2016.01.29 |
# Git 수정 시 필요한 커맨드 (0) | 2016.01.29 |